티벳불교에서 비구니스님들의 처지는 비구스님의 그것과 사뭇 다르다. 사원의 규모나 시설도 그러하지만, 제일 중요한 교육면에서도 많은 차별이 있다.
망명 초기에는 티벳 전체가 상황이 어려웠기때문에, 비구니 승단은 뒷전일 수 밖에 없었다.
사실, 티벳은 비구니 승단이라는 말이 성립되지 않는다. 여성 출가자에게는 아직까지 비구니계를 주지 않고, 사미니계만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티벳현실에 문제제기를 하기 시작한 것은 티벳불교를 배우러 온 서양여성들이라고 한다.
불행중 다행으로, 지금은 문제의식이 많이 공유되어서, 티벳비구니 승단을 건립하기 위해 여러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다람살라에서 찾아간 비구니 사원은 네 군데였다.
1. 제일 오래된 비구니 사원- 가덴촐링
가덴촐링은 일본 식당인 룽따 근처에 있다. 망명 초기에는, 비구니스님들은 거처가 따로 없어서 흩어져 살았다고 한다. 그러다 하나 둘 모여살기 시작했는데 그중 하나가 겔룩파 소속의 가덴촐링이다. 지금은 약 150명의 스님들이 상주하고 있다.
티벳본토에서는 비구니 스님의 경우, 기도와 안거는 할 수 있어도 정식적인 교육은 받지 못했다. 그러나 가덴촐링의 경우 티벳어, 영어, 철학, 토론, 수학, 컴퓨터 수업을 하고 있다. 젊은 비구니 스님들은 공부에 재미가 붙어 밤늦도록 공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러한 교육열기 때문인지, 사원 구석구석과 스님들의 숙소는 낡고 낡아서, 천장에는 빗물이 새고 있었지만, 도서관 만큼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여기 스님들은 매달 시험을 치고, 일년에 두차례 큰 시험도 있다고 한다.

2. 슉쉽사원
슉쉽은 닝마파에 소속된 비구니 사원으로 오래된 사원이다.
그나마 가덴촐링은 길거리에 있어 찾기가 쉬웠지만, 슉쉽은 숲길에 있어 찾기가 무척 힘들었다. 옴 레스토랑이 있는 골목길을 따라 내려갔는데, 중간에 길이 유실되어 애를 먹었다. 지리상 차로 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슉쉽은 지원물자가 많이 부족하다고 한다.

가까스로 슉쉽을 찾아갔다. 마침 수업시간이어서 그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티벳비구니 사원은 주지 스님이 비구스님인데, 여기도 그러했다. 약 60명의 스님들이 상주하고, 교육기간이 총 9년이다.
시설이 많이 열악해서, 따로 교실이 없었다. 그래서 수업은 주지스님 방과 선생님 방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비록 시설은 열악하고 상황은 어려워도, 스님들의 모습은 참 해맑았다.
우리에게 사원안내를 해준 25살의 오겐스님은 96년도에 티벳에서 망명왔다고 했다. 올해가 8년차라고 하는데, 내년에 교육과정이 다 끝나면 티벳에 계시는 부모님을 만나뵈는 것이 소원이라고 한다. 기미가 낀 얼굴에 수줍은 모습이 참 애처로워 보였다.
오겐스님의 소원대로 부모님을 꼭 만나고 안거에 잘 들어갔으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