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이야기(India)/인도티벳사원2005

인도속의 티벳사원 제 10탄- 돌마링 비구니사원

돌마링 비구니사원은 다람살라의 노블링카 근처에 있다. 현대식 건물에 200여명의 스님들이 공부를 하고 있었다.

돌마링사원의 특징은 티벳의 4개파 비구니스님들이 함께 공부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이 티벳인이지만, 오스트리아/베트남 등지에서 온 외국인스님들도 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어 작문시간. 선생님의 눈초리가 무서웠다^^)

하루에 6교시 수업이 있는데, 영어/티벳어/불교철학을 배운다고 한다. 영어와 티벳어의 경우 선생님이 일반인이다. 일년에 두차례 시험을 친다.

티벳 비구니 스님에게는 비구스님처럼 불교철학 박사학위(게쉐)가 없지만, 여기를 졸업하면 게쉐학위와 비슷한 졸업학위를 받는다고 한다. 졸업생들은 사라학교나 노블링카에 진학하기도 하고, 안거에 들어가기도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마링의 도서관, 옆에는 우리를 안내해준 보살님. 정말 영어를 잘한다)

돌마링 도서관은 정말 최신식이었다. 지역주민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 비구니 스님들의 책 읽는 모습이 참 좋아보였다.

돌마링의 수업은 주로 불교철학 중심인데, 간혹 이런 이론 수업에 흥미가 없거나 나이가 많은 스님들을 위해, '반절짜리 수업(half course)'이 마련되어 있다고 한다.

이 반절짜리 수업이란, 최소한의 기본적인 수업만 수강하고 나머지 수업시간에 사원을 위해 봉사하는 것을 말한다. 자신의 취미와 솜씨에 따라, 재봉일을 하기도 하고 도서관의 사서를 맡기도 하며 사원곳곳의 봉사활동을 하기도 한다. 돌마링내에는 수공예 기념품을 파는 곳이 있는데, 여기에는 스님들이 직접 제작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재봉실 풍경, 기념품이나 승복을 만든다)

공부를 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공부할 여건을 제공해주고 또 공부가 어려운 사람에게는 자신의 취미를 이용해 스님이나 사원에 도움이 되는 봉사활동을 하는 모습이, 참 현명하게 느껴졌다.

여기서도 느낀 점인데, 티벳의 강원들은 운력이 참 없다.

돌마링의 경우도 한달에 한번 청소하는 것이 운력의 전부이고, 후원일의 경우 아주 아픈 사람이나 노스님을 제외하고는 평등하게 돌아가면서 한다고 한다. 후원소임으로 수업을 빠지게 되는 것은 세달에 이틀정도라 한다.

절살림은 재가 신도에게 맡기고 공부에만 전념하면서도, 후원살림은 스님들 스스로가 해결해 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돌마링 후원의 모습)

스님들의 숙소도 따로 있었는데, 저학년의 경우 3명이서 한방을 쓰고, 고학년의 경우 2명이서 한방을 쓴다고 한다.

티벳이나 동남아의 다른 불교국가와는 달리, 우리나라 스님들은 개인적으로 방을 쓰지않고, '대방'생활을 하는 것이 전통이다.

대방생활은 자율적이고 개인적이기 보다는, 집단적인 어울림의 문화이다. 그래서 대중의 수준이 높을 경우에는, 다같이 수준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대중의 수준이 낮을 경우 다같이 타락하게 되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그리고 티벳강원에는 우리나라 강원처럼, 위계질서 즉 상반이 아랫반을 누르는(?) 그런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강원에는 '무릎공사'라는 것이 있었다. 상반이 야단치는 동안, 아랫반은 고개 한번 들지도 못하고, 발에 쥐가 나도 꼼짝도 못하고 무릎꿇고 앉아 있는다. 어떤 때는 무릎공사가 몇 시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스님들은 이런 모습을 하나의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으니... 부처님의 자비사상보다는 유교의 권의의식이 몸에 배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 어쩌면, 군대의 어려움이 추억이 되듯이, 비인권적인 관례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우리의 엇나간 정서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승단이 권위중심에서 부처님의 자비를 실천하는 수행자의 집단으로 더욱 거듭나기를 간절히 바래본다.